[SOH] 우리나라 청년들의 삶의 질을 엿볼 수 있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년 10명 중 4명 이상이 아파도 시간과 돈이 없어 병원에 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13일 만 19∼34세 청년 4000명(남성 1984명·여성 2016명)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 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41.6%는 '최근 1년간 아픈데도 병원에 가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47.1%) △병원비가 아까워서(33.7%) △약국에서 비처방약을 먹어서(9.3%)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비가 아까워서 입원을 하지 못한 경우는 미취업자(43.7%), 빈곤층(41.9%), 중위소득 미만(41.3%) 등 취약계층에서 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40%가 의료비에 들어가는 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답했으며, 54%는 최근 1년간 월 생활비의 ‘5% 이하’를 의료비로 지출했다고 답했다.
특히 청년의 절반 이상은 최근 1년간 병원, 건강검진센터, 보건소 등에서 건강검진을 받아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50.6%는 주요 건강 지원 정책 중 최우선 순위로 ‘2030 무료 건강검진 확대’를 꼽았다. 가장 시급한 정부의 청년 건강 정책으로는 ‘청년 의료비 지원 확대(32.8%)’를 선택했다.
아플 때 도움을 요청할 만한 주변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15.2%였다. 정서적으로 의지할 만한 사람이 없다고 밝힌 비율은 13.2%, 최근 한 달간 사적으로 사람을 만난 적이 없다고 한 비율은 16.4%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57.8%는 '우울한 상태'라고 답했으며, 37.1%는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코로나 이후 청년들의 경제, 노동, 건강 빈곤 수준이 악화한 것을 확인했다”며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고려한 청년 다차원 빈곤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