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서해안에 만들어진 댐이 해양환경을 파괴하는 주요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권세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 김영광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 연구팀은 댐 같은 인프라가 서해안 독성물질의 생물 축적 양상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환경과학저널인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30년 동안의 서해안 해양생물 샘플을 분석해 댐과 해안의 독성물질생물 축척양상간 변화추이를 확인했다. 그 결과 결과 조개 등 패류의 수은은 96% 감소했지만, 물고기의 수은은 오히려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퇴적물 때문으로 하구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일반 수은은 74% 줄어든 반면, 독성이 훨씬 더 강하고 몸 속에 쉽게 쌓이는 ‘메틸수은’은 무려 536%나 증가했다.
연구팀은 또 수은의 ‘지문’과도 같은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수은의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댐 건설 이전에는 주로 강을 통해 산업단지나 육지에서 흘러온 수은이 하구로 유입됐다. 그러나 댐이 세워진 뒤 강의 흐름이 막히면서 하구로 들어오는 수은의 양이 줄어들고, 대신 비나 대기 중 먼지에 섞인 수은이 주요 공급원이 됐다.
연구팀은 댐 건설 이후의 환경문제에 대해 오염물질 총량만 측정할 게 아니라 독성이 훨씬 강한 메틸수은의 양을 포함해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이번 연구가 갖는 큰 의미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이 연구는 단순히 오염의 양뿐 아니라, 그 오염이 생물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며 “환경영향평가나 수질관리 정책에서도 이와 같은 미세한 생지화학적 변화까지 고려하는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