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08(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우한(武漢)도 식수오염, 암모니아 질소 기준치 초과

편집부  |  2014-04-25
인쇄하기-새창

[SOH] 한장(漢江) 우한(武漢)시 일대 상수원의 암모니아 질소 함유량이 수질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우한시 정수장 세 곳이 23일과 24일 이틀간 긴급 단수조치에 들어갔으며, 많은 시민들이 생수를 구입하기 위해 마트로 몰려들었습니다. 


당국은 가장 심한 타격을 받은 동시후구(东西湖区)가 24일 오후 4시에 식수공급을 재개했다고 발표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24일 저녁 언론보도로 아직 식수공급이 재개되지 않았음을 알았습니다.  한 시민은 "물에 독이 있어 재개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5일 동안 단수할 것이라 한다 그래서 대량으로 생수를 사고 있다. 또한 오염된 물을 흘려 보낸다고 해도 독이 안 나온다는 보장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건 발생 후 우한시 응급대책반은 24일 오전 8시 정부 웨이보(微博)를 통해, 24일 아침 5시 동시후구의 위스둔(余氏墩) 정수장은 급수를 재개했으며 수질도 합격했다고 알렸으나, 2시간 후 다시 취수구 수질이 기준에 미달해 오후 9시 40분에 급수를 정지한다고 알렸습니다.


이에 대해 다른 시민은 "어제 저녁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한밤중에 물이 나오고 오늘 오전 또다시 중단됐는데, 이렇게 물을 공급했다가 중단하는 것을 보니 정말 물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단수로 매우 불편을 겪고 있는데, 하루빨리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 네티즌은, ‘이전에 어항에서 기르던 물고기들은 아주 좋았는데, 어제부터 모두 죽어 버렸다. 물이 정말 합격한 것인가? 아니면 단지 이런 물을 마셨다고 사람이 죽지 않았을 따름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당국은 아직 오염원인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제일재경일보(第一财经日报)는 상하이시 환경과학연구규칙 및 표준연구소의 루스창(盧士强)박사의 말을 인용해 "대부분의 하류는 암모니아 질소치가 1mg/L에서 1.5mg/L로 정상범위에 속한다", "이번 우한에서 응급 채수한 방식은 암모니아질소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아마 다른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암모니아질소는 일단 산화되면 발암물질을 발생시키며 장기간 기준치가 넘은 암모니아 질소가 포함된 음용수를 마시면 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란저우(蘭州)시 수돗물이 벤젠 기준치를 초과한 사실이 폭로돼, 란저우시 전체의 음용수 위기를 불렀습니다. 인구 360만의 란저우시는 이 때문에 생수를 사려는 인파들이 대형 마트로 몰려들어 장사진을 이루었으며, 생수 한 상자가 일시에 100위안(약 16,600원)까지 올랐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953 충격! 선전(深圳) 청관(城管) 백여 명 시위
편집부
14-05-06
1952 신장 폭발사건의 이상한 현상?
편집부
14-05-05
1951 中 젠싼장 흑(黑)감옥 시위로 폐쇄
편집부
14-05-02
1950 짝퉁천국 中, 가짜 정부까지 출현?
편집부
14-05-02
1949 中 독거노인들, 중공에 양로연금 배상 요구
편집부
14-04-29
1948 中 관광객, 몰상식한 여행지 매너는 여전
편집부
14-04-29
1947 홍콩 ‘6.4 기념관’ 개방...대륙 학생들 홍콩 가서 참관
편집부
14-04-27
1946 中 애국방송 앵커들의 美 원정출산
편집부
14-04-25
1945 우한(武漢)도 식수오염, 암모니아 질소 기준치 초과
편집부
14-04-25
1944 中, 목숨 걸고 하는 반부패 조사
편집부
14-04-2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221,78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