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중국 정부가 현지 종교에 대해 과도한 단속을 진행하는 가운데 중국의 종교ㆍ인권 운동가들과 학자들은 당국에게 더 이상 이 문제에 개입하지 말 것을 촉구했습니다.
19일(현지 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중국의 종교ㆍ인권 운동가와 학자 50여 명은 지난주 미국 인디애나주의 퍼듀대학에서 회의를 가진 뒤 성명을 발표해 "중국 공산당은 종교적 신앙의 합법성을 가릴 권한과 도덕적 권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현재 중국 내 각 종교는 자유가 없고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다. 당국은 이슬람 사원이나 티베트 불교사원 등에 종교 담당 관리를 배정해 통제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중국인들에게 당국의 탄압에 맞서 종교의 자유를 위해 투쟁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 '퍼듀 성명'은 지난달 말 중국 당국이 '동방의 예루살렘'으로 불리는 중국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 융자(永嘉)현에 있는 싼장(三江)교회를 강제 철거한 직후에 발표됐습니다.
최근 공공질서 문란죄(심흔자사죄·尋흔<다툴흔>滋事罪) 위반 혐의로 형사 구류된 중국 광저우(廣州)의 인권 변호사 탕징링(唐荊陵)은 ‘퍼듀 성명’ 발표 당시, "현재 중국에는 종교의 자유가 없을 뿐 아니라, 싼장 교회가 철거된 때부터 종교 탄압의 징후가 더 뚜렷해졌다"고 말했습니다.
베이징(北京)의 개신교 목사인 류펑강도 "중국 정부가 종교 단체를 합법이라고 허가해주는 것은 지하 종교 단체를 공격하기 위해서고, 정부의 통제를 받는 기독교삼자운동회를 만든 것은 기독교에 대한 근본적 불신을 감추기 위한 의도"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류펑(劉澎) 연구원은 지난 3월 미국 방문 당시 중국의 종교 신자가 계속 늘어나는 현실을 고려해 종교 정책을 개혁할 것을 중국 당국에 촉구했으며, 위구르족 이슬람 지도자이자 중국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인 알리미트 아메토티 다몰라 하짐도 같은 시기에 진행된 양회(兩會ㆍ전인대와 정협) 폐막 후 관영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당국의 종교 탄압과 고용차별 정책을 비판한 바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