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에서 공직자들 간의 명절선물 거래 관행이 갈수록 음성화되고 있습니다.
4일 중국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당국의 반부패 정책 강화에도 각 공무원들과 국유기업 관계자들이 명절을 앞두고 보다 은밀하고 지능적인 방법으로 선물을 수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전자상거래와 상품배송 시스템이 일반화되면서, 상대에게 직접 현금이나 선물을 전하는 방법이 사라지고 사정 당국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선물교환권·배송권, 선불카드 등으로 명절 선물을 대신하는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시(江西)성의 한 판매상은 "인터넷에서 선물교환권에 기재된 숫자와 본인 주소, 연락처를 기재하면 5일 안에 선물을 받을 수 있다"면서 "선물을 주고받는 사람이 전혀 접촉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선전시의 한 국유기업 관계자는 "6만 위안(1천만 원) 상당의 선물교환권을 구매했다"면서 "이 방법으로 정부 기관과 거래처 간부들에게 교환권을 보냈는데 대부분은 다 받았다. 일부 수수를 거부한 사람도 있는데 혹시라도 당국에게 약점을 잡힐까 염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밖에 사정 당국의 감시와 부정부패 제보 창구가 일반화되면서 선물을 아예 명절 이후로 보내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광둥(廣東)성의 한 시(市) 정부 관계자는 "예전보다는 명절선물이 많이 줄었지만, 일부 기업체 사장들은 당국의 감시를 피해 명절 후 선물을 전하려 하고 있다"고 귀뜸했습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명절에 국유기업과 공공기관이 공금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행위를 근절하려면 명절을 전후한 3개월간 재정 감독과 회계 감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 중산(中山)대학 천톈샹(陳川祥) 교수는 "공직자 선물 수수는 권력과 이익의 교환"이라며, "하위직이 고위직에 바치는 선물은 주로 승진 등 인사권과 관련이 있고, 기업이 정부에 주는 선물은 수많은 인·허가권을 쥔 정부의 업무 추진 과정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라고 비난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