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16(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中, 반부패 속에서도 공직자 선물관행은 여전

편집부  |  2014-09-05
인쇄하기-새창

[SOH] 중국에서 공직자들 간의 명절선물 거래 관행이 갈수록 음성화되고 있습니다.


4일 중국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당국의 반부패 정책 강화에도 각 공무원들과 국유기업 관계자들이 명절을 앞두고 보다 은밀하고 지능적인 방법으로 선물을 수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전자상거래와 상품배송 시스템이 일반화되면서, 상대에게 직접 현금이나 선물을 전하는 방법이 사라지고 사정 당국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선물교환권·배송권, 선불카드 등으로 명절 선물을 대신하는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시(江西)성의 한 판매상은 "인터넷에서 선물교환권에 기재된 숫자와 본인 주소, 연락처를 기재하면 5일 안에 선물을 받을 수 있다"면서 "선물을 주고받는 사람이 전혀 접촉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선전시의 한 국유기업 관계자는 "6만 위안(1천만 원) 상당의 선물교환권을 구매했다"면서  "이 방법으로 정부 기관과 거래처 간부들에게 교환권을 보냈는데 대부분은 다 받았다. 일부 수수를 거부한 사람도 있는데 혹시라도 당국에게 약점을 잡힐까 염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밖에 사정 당국의 감시와 부정부패 제보 창구가 일반화되면서 선물을 아예 명절 이후로 보내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광둥(廣東)성의 한 시(市) 정부 관계자는 "예전보다는 명절선물이 많이 줄었지만, 일부 기업체 사장들은 당국의 감시를 피해 명절 후 선물을 전하려 하고 있다"고 귀뜸했습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명절에 국유기업과 공공기관이 공금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행위를 근절하려면 명절을 전후한 3개월간 재정 감독과 회계 감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 중산(中山)대학 천톈샹(陳川祥) 교수는 "공직자 선물 수수는 권력과 이익의 교환"이라며, "하위직이 고위직에 바치는 선물은 주로 승진 등 인사권과 관련이 있고, 기업이 정부에 주는 선물은 수많은 인·허가권을 쥔 정부의 업무 추진 과정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라고 비난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032 홍콩 범민주파, ‘보통선거권’ 쟁취 일정 본격화
편집부
14-09-05
2031 中, 반부패 속에서도 공직자 선물관행은 여전
편집부
14-09-05
2030 中 당국, 동영상 사이트도 규제 강화!
편집부
14-09-04
2029 中 저장성서 ‘불법 유독 캡슐’ 적발
편집부
14-09-03
2028 中 3개 대학 이데올로기 통제 강화
편집부
14-09-02
2027 민주파 시위자들에 대한 홍콩 당국의 과도 진압...눈총!
편집부
14-09-02
2026 中, '중앙기업 관리책임자 보수제도 개혁 방안' 의결
편집부
14-08-30
2025 中 당국, 위구르족에 ‘표준어 교육’ 강요 [1]
편집부
14-08-28
2024 중국판 아이스 버킷 챌린지, 양심수 석방 호소
편집부
14-08-27
2023 中, 추석 앞둔 ‘월병 시장’ 상인들 울상
편집부
14-08-25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241,80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