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공산당 정권 수립이후 60여년간 문화대혁명, 톈안먼(天安門) 시위 유혈 진압, 개혁·개방 등 사회적 대변혁기를 거치면서, 경제적 성장만을 강조해온 탓에 사회 도덕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12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VOA는 "중국 지도부가 최근들어 사회에 만연한 비도덕적 현상에 긴장하고 있다"면서, 문화대혁명 등 지난 60여년간의 사회적 대변혁과 부실한 교육, 물질만능 풍조 등과 더불어 민주화 과정이 탄압받는 것도 중국 사회의 도덕이 타락하는데 일조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보도는 "중국 지도부가 이로 인한 사회 붕괴를 우려해 사회 건설과 사회주의 가치관을 급급히 내세우고 있고, 관영 매체들도 '대재난 앞에 큰 사랑을' 이라는 등의 슬로건으로 레이펑(雷鋒)과 같은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의 노동·인민 영웅을 내세우며 도덕성 회복 촉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 베이징(北京)대학 허하이훙(何懷宏) 철학과 교수는 "중국 사회의 도덕적 기준과 양심이 윤리적 최저선까지 떨어졌다"면서, "지도부를 비롯해 전 국민이 법률과 사회 규범을 준수하는 데 최대한 심혈을 기울여야 하지만 현 정권은 사회 도덕의 진정한 회복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당권 유지가 위협받지 않을 만큼의 사회 도덕을 원하기 때문에 실효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먼트 멕켄나 대학 페이민신(裴敏欣) 박사도 "중국 공산당은 도덕 타락으로 사회가 붕괴되는 것을 두려워 하지만 인민이 도덕성을 회복해 독립적인 사고 능력과 정의감을 갖는 것도 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VOA는 "중국에서는 현재 위기와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다 낭패한 사례들이 생기면서, 죽어가는 사람을 봐도 외면하고, 관료사회는 권력으로 부패했으며, 병원, 학교 등 사회·경제 각 기관도 금전만능에 빠졌다"고 지적하고, "시장에는 각종 짝퉁들이 넘쳐날 뿐 아니라 가짜 계약. 학력 위조, 허위 기사, 허위 자료 등이 활개를 치면서 사회 도덕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며, "당·정 관리들의 권력을 감시하는 민주 법치가 없는 것이 도덕성 회복의 최대 장애"라고 덧붙였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