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AI와 안면인식 기술, CCTV 등 최첨단 기술을 통해 14억 인구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는 거대한 ‘하이테크 전체주의’ 사회를 구축하고 있는 가운데, 주민 감시를 위한 ‘순찰 로봇’ 상용화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2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베이징 메이위앤 주택가에 주민 감시를 위한 순찰 로봇이 배치됐다.
'메이바오'로 불리는 이 로봇은 베이징 항공우주 자동제어 연구소(BAACI)가 개발했다.
이 로봇은 높이 170㎝에 카메라와 대형 스크린을 장착했으며, 안면 인식과 적외선 열 영상, 대화 기능 등을 갖고 있다.
주변의 보행자를 인식한 뒤 빅데이터와 항법 장치 등을 조합해 주변 상황을 감시하고 기록할 수 있으며, 수상하다고 판단할 경우 당국에 알리는 기능도 이행한다.
이 로봇이 배치된 것은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진행하는 감시 로봇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 작업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범죄 예방과 범인 검거 등을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중국 전역에 2억 대가 넘는 CCTV는 중국 국민의 일상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해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낱낱이 감시하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오는 2021년 4억 대로 늘어날 예정이어서 중국 내 도시의 모든 아파트는 물론 농촌과 기업에까지 촘촘한 감시망이 들어설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 공산당은 사회 통제 시스템을 활용해 권력 기반 강화에 나선 시진핑 체제에 반대하는 세력과 활동을 철저하게 탄압하고 있다. 체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 노동자들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시위 등은 억압당하고 있고, 인권운동을 벌여온 반체제 인사들은 사회에서 완전히 격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세계적인 투자자 조지 소로스 소로스펀드 회장은 최근 열린 스위스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중국 등) 독재 정권들이 정보기술(IT)을 이용해 만든 국가 주도의 국민 감시 시스템이 민주사회를 위협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며, “시 주석은 주민을 억압하는 독재자이며, 열린 사회의 가장 위험한 적”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