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6월 홍콩 내 반중(反中) 행위를 처벌하는 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정치인과 시민들의 ‘홍콩 탈출’이 이어지고 있다.
6월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지난 1월 영국해외시민(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 시민에 대해 5년간 거주·취업을 허용하는 등 이민 문턱을 낮추면서 2~3월 동안 약 3만4000건이 넘는 신청이 몰렸다.
BNO 여권은 1997년 홍콩 반환 전까지 영국이 홍콩 거주자들에게 발급한 특수 여권이다. BNO 대상자가 비자를 신청하면 5년간 거주·노동이 가능하도록 한 뒤 시민권 신청을 허용한다.
지난해 1~10월에도 BNO 여권을 발급받은 홍콩인은 21만여명에 달해 영국 이민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 이후 호주, 영국 등 해외로 망명을 신청한 홍콩인도 470명에 달한다.
망명 신청이 가장 많은 국가는 호주로 305명에 달했다. 보안법이 시행된 직후인 지난해 7월에만 34명이 망명을 신청했다. 영국은 121명의 망명 신청을 받았고 미국(15명), 독일(3명)이 뒤를 이었다.
‘홍콩 탈출’ 가속화는 홍콩 국가보안법, 선거제 개편 등 정치적 탄압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작년 6월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만장일치 162표로 홍콩에 대한 통제 강화를 골자로 한 홍콩 국가보안법을 통과시켜, 중국이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반환받을 때 약속했던 일국양제 제도가 사실상 무력화됐다.
홍콩 보안법은 국가정권 전복과 국가 분열 및 테러리즘,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행위 등을 금지·처벌하고, 외국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을 금지한 법이다.
SCMP는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 정부는 보안법이 민주화 시위 이후 질서 회복에 도움이 됐다고 주장하지만 시민의 자유를 위협하고 정치적 반대파를 무너뜨리는 데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홍콩 당국은 홍콩보안법을 앞세워 야당 정치인은 물론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까지 체포했다. 1년 동안 범민주진영 인사 50여명을 포함해 최근 폐간된 반중매체 빈과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 등 114명이 체포됐고 61명이 기소됐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