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에 대한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1997년)된지 20년째가 되는 지난 1일, 홍콩에서 약 1만명에 가까운 시민 등이 참가한 반(反)중국 시위가 열렸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위대는 ‘진정한 의미의 보통선거로 행정장관을 선출할 것’과 ‘범민주파에 대한 탄압성 사법 심사를 철회할 것’, 중국이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에 따라 홍콩에 약속한 고도의 자치를 보장할 것 등을 요구하며, 홍콩섬 빅토리아 공원에서 센트럴(中環) 차터가든(遮打花園)까지 거리 행진을 벌였다.
시위대는 먼저 행정장관 선출에 대해 ‘중국 당국이 시행하는 1천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위원회를 통해 치르는 선거 방식을 직선제로 변경할 것’을 촉구하며, 출마 자격에 제한과 규제를 두지 말고 누구라도 입후보할 수 있도록 보통선거를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시위대는 또 홍콩 정부가 최근 선서 파행 논란이 벌어진 친(親)독립파 식스투스 바지오 렁(梁頌恒)·야우와이칭(游蕙禎·여) 의원당선자에 대해 사법심사를 신청해 승소한 데 이어 범민주파 의원들에 대해서도 사법심사를 신청해 정치적 검열 강화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며, 렁 훙梁國雄) 사회민주연선(社會民主連線) 주석과 네이선 로(羅冠聰) 데모시스토(香港衆志) 주석, 에드워드 이우(姚松炎) 의원, 라우시우라이(劉小麗·여) 의원 등 야당 의원의 선서 무효와 의원 자격 박탈을 요구하며 제기한 사법심사 신청을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위에 참가한 라우 의원은 이에 대해 법원이 자신을 포함한 4명의 의원 자격을 취소할 경우, 입법회에서 범민주파의 부결권을 상실하게 된다며 입법회를 수호하자고 참가자들에게 호소했다.
이날 시위대 중 일부는 거리에서 이들 의원의 소송 비용 마련을 위한 모금 활동을 벌여 142만 홍콩달러(약 2억2천만 원)가 모금되기도 했다.
시위 주최 단체인 민간인권진선(民間人權陣線·민진)은 이날 시위 참가 인원이 다소 적었던 것에 대해 최근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이 연임을 포기한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봤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