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이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를 제공하기로 한 롯데 기업에 전 방위적인 보복을 퍼붓고 있는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들이 중국 국민에게 애국심을 고취하자는 논리로 대대적인 ‘한국 상품 불매’ 촉구에 나섰다.
1일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 영문판인 글로벌 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우리의 반격은 조직적이고 단호해야 하며, 철저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면서, “중국 소비자들은 시장의 힘을 통해 한국을 벌함으로써 (중국의 입장을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한) 교훈을 줄 주요한 세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이 주장의 뒷받침으로 “중국인들의 한국 여행이 지난해 1천741만 명에 달했다는 점과 한국 드라마와 공연이 중국 내 한류를 이끌고 있다는 점”을 내세웠다.
신문은 “그러나 우리는 양국 관계를 파괴할 조치까지는 할 수는 없다”면서, “중국 경제가 피해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번 제재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는 적나라한 이중적 작태를 드러냈다.
이 매체는 이번 촉구에서 "삼성과 현대도 중국을 가장 큰 시장으로 가지고 있다”며, “이들 기업도 한중 간 갈등 심화로 조만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밝혀 ‘한국 상품 불매’를 확산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중국이 외국의 투자를 환영하고 촉진하겠다고 하면서, 자국 법에 따라 정상적으로 영업 중인 특정 외국기업을 겨냥해 매체를 이용해 ‘전 국민적인 보복'을 부추기는 것이 과연 정당한지”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밖에 인민일보, 신화통신, CCTV 등도 롯데의 사드부지 제공을 비난하며, 한국에 대해 경제보복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27일, 중국이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 수위를 높이는 것에 대해 ‘비이성적’이라는 이례적인 표현을 사용해 강력 비난했다.
알리시아 에드워즈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이날 미국의소리(VOA)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사드는 북한의 분명하고 무모하며 불법적인 군사 위협에 대응한 신중하고 제한적인 자기 방어적 조치”라며 “(중국이) 한국에 방어 조치를 포기하라고 압박하는 것은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