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등 분쟁해역에서 중국이 군사용 무인기(드론) 사용을 대폭 늘리고 있는 데 대해 미국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리 방송(VOA)’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프로젝트 2049 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등에서 무인기 사용량을 갈수록 크게 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해역에서 사용되는 무인기는 S-100형, ASN-209형, BZK-005형, GJ-1형 등으로 대부분 중국이 직접 개발한 것이다. 이들 무인기는 항속 거리에 따라 정찰 또는 전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만 중앙통신은 “중국은 다양한 전술 영역에서 무인기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지난 7월 중국은 '수중 글라이더'로 불리는 무인 잠수기를 배치하고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최근 인공지능(AI) 기술로 소형 무인기들을 떼 지어 비행시키는 '드론 스웜(swarm)'이라는 비대칭 전술을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드론 스웜’ 기술은 저가의 무인기들을 대거 사용해 항공모함이나 전투기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중국군이 2023년까지 수만 대의 무인기를 보유하고 그 가치도 100억 달러를 넘게 될 것으로 보고, 미국 해군 전력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