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의 ‘출판 자유’가 중국의 과도한 간섭으로 위협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홍콩 공영방송 RTHK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홍콩 전체 서점 절반 이상의 소유권을 확보해 반중(反中) 서적 유통에 대한 원천 차단에 나섰다.
방송은 대규모 서점 체인 싼롄(三聯)서점, 중화(中華)서국, 상우(商務) 인서관을 포함해 53개의 서점과 30개의 출판사를 거느린 홍콩 연합출판집단의 지배주주가 중국 정부 기관인 홍콩특별행정구 연락판공실이라는 사실이 최근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합출판집단은 홍콩 출판 시장과 서점 시장의 70% 이상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홍콩 출판계에서 반발이 거세지자, 홍콩 정부의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연합출판집단의 서점 경영이 “법에 따른 것이라면 정부가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친중적 입장을 내놨다.
이에 대해 평론가 앨런 아우(區家麟)는 “중국 파견 기관 중롄판이 주주 참여 방식으로 홍콩 출판문화사업에 개입함으로써 홍콩은 ‘분서갱유(焚書坑儒:책을 불사르고 선비를 산 채로 구덩이에 묻음)’를 방불케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우려했다.
그는 람 장관의 입장에 대해 홍콩 정부가 중국의 언론출판 자유 탄압을 돕고 있다고 질타했다.
앞서 2015년 홍콩에서는 중국공산당과 고위층 등의 내막을 폭로하는 책 등 중국이 금서로 규정한 서적을 취급 판매해온 통로완(銅鑼灣) 서점의 경영자와 직원 등 5명이 차례로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중국 당국에 의해 강제로 연행돼 조사를 받았으며, 이들에 대한 국제사회에서 석방 요구가 거세지면서 가까스로 풀려났다.
중국은 홍콩에 대해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를 허용하고 있지만, 시진핑 정권 출범 이후 홍콩 내 각 분야에 대한 간섭 및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사진: AP/NEWSIS)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