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이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위구르족에 대한 탄압을 계속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위한 수단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대규모 사상 재교육 수용소 운영뿐 아니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까지 활용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독일 <DPA>,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최근 현재 해외로 나온 약 60명의 신장 출신 위구르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신장 주민들의 DNA와 음성 등 각종 데이터들을 대량으로 수집해 이들에 대한 식별 및 추적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증언했다.
신장 지역에는 안면인식 검색대 설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공안 당국은 각 위구르인 가구마다 거주자 정보가 담긴 QR코드가 있는 감시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인터뷰 대상자 중에는 해외에서 많은 논란과 비난이 일고 있는 사상 재교육 수용소에 갇혔던 이들도 있었다.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 내에서는 이슬람식 인사가 금지되며, 중국 표준어 학습, 선전 노래를 불러야 한다. 이를 거부할 경우 식사 금지, 24시간 서 있거나 독방에 감금되는 등 각종 처벌을 받는다.
앞서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지난달, 신장 위구르인 탄압과 관련해, 신뢰할만한 여러 보고서를 근거로 이 지역에 100만 명을 가둔 사상 재교육 수용소가 운영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사진: AP/NEWSIS)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