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이 원전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서해안과 마주한 동부 연안이 원전 밀집지역으로 변하고 있어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3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세계 에너지 시장 인사이트’에 따르면, 중국 산둥성에서 하이양(海陽) 원전 1호기가 최근 시운전에 들어갔으며, 두 달 후 상업 운전을 시작한다. 올 하반기엔 양장5호기, 타이산1호기, 싼먼2호기 등도 상업 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에서는 올해 6월 말 현재, 38기의 원전을 운전 중이지만 18기를 추가로 건설할 예정이다. 중국은 지난 2016년 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 기간 중 원자력발전 규모를 115% 증가시켜 발전 용량을 현재 37GW(기가와트)에서 58GW로 키우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전체 전력의 3% 수준인 원자력 비중을 2030년 10%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원전 발전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한 37GW로 중국 전체 발전량의 4.1%를 원전이 책임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당초 내륙에도 40여기 원전을 지어 원전의 동부 편중을 해소할 계획이었지만, 일본 후쿠시마 사고가 일어나자 이 계획을 중단했다.
인구가 밀집한 내륙의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안지역보다 피해가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신규 원전 허가가 동부 연안으로 몰리면서, 이 지역은 거대한 원전 밀집지역으로 변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의 원전 대부분이 한국의 서해안을 마주보는 중국 동해안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체 33개 성·자치구·직할시 가운데 장쑤(江蘇)·저장(浙江)·푸젠(福建) 등 동부 연안 8개 성에만 원전이 있다.
장쑤성은 서울과 약 970㎞ 거리이며, 산둥반도 동쪽 끝에 짓고 있는 스다오완 원전은 인천까지 직선거리가 330㎞에 불과하다.
중국 원전에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편서풍과 해류를 타고 방사선 오염 물질이 한반도에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원전이 밀집된 동쪽 해안이 탄루단층이 위치해 있는 지진 다발지역이라는 것도 원전 사고에 대한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동해안의 원전 벨트 근처에는 탄루 단층대(지각이 어긋나 있는 곳)가 지나고 있다. 이 단층에선 지난 1976년 24만여명의 희생자를 낸 규모 7.8의 탕산(唐山) 대지진이 발생했다.
실제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인용해, “중국 장쑤성 톈완(田灣) 원전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3일 안에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 상공에 도달한다”고 밝혔다. (사진: 유튜브)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