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은 동북부에 위치한 랴오닝성 단둥시와 북한 평양, 한국의 서울과 부산을 철도와 통신망으로 연결할 계획이 있다고, 최근 랴오닝성 정부가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사실상 중국의 경제구상 ‘일대일로’가 한반도까지 연장하게 된다.
10일(현지시간) <랴오닝일보>는 정부의 ‘랴오닝 일대일로 종합구 건설계획’을 전하며, 2030년이 완성 목표라고 보도했다. 이 계획은 서울과 부산 등의 이름도 들어있지만, 주로 북한과의 협력관계가 강조되고 있다.
앞서 동아일보에 따르면, 이 계획은 3차 북중 정상회담에서 협의됐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북한과 인접한 랴오닝성이 중국과 북한의 합의 계획을 실시하고, 한국을 포함한 합동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2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동방경제포럼에서 극동 지역의 발전 가속화와 동북아시아에서 일대일로 프로젝트 실현을 촉구했다.
시진핑은 당시 발언에서 한반도의 일대일로를 통해 향후 3국뿐만 아니라 일본, 러시아, 몽골의 경제 공동계획인 ‘동북아시아 경제 회랑’을 촉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미 북한과의 국경간 고속도로 초기 개발에 착수했다. 그 외에 지난해 동방경제포럼에서 러시아, 북한, 한국이 ‘러시아-한반도 운송 회랑’을 발표했다. 당시 발표 내용에는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등 대형 인프라가 포함되어 있다.
지난 5월 우리 정부가 발표한 남북경제협력 계획에도 서울, 평양, 신의주, 단둥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계획안이 들어 있어, 중국의 ‘한반도 일대일로’와 겹친다.
아시아권 정보를 전하는 <실크로드 브리핑>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에서 대형 인프라를 건설하고, 이어 한반도에서 금과 희토류 금속 등 자원을 채굴할 계획이라고 한다.
자원 관련 뉴스 매체 <오일 프라이스>는 재미 러시아 분석자의 보고를 인용해, 북한에는 200종 이상의 풍부한 광물이 있고, 그 시장가치는 10조 달러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지난해 유엔 제재결의로 북한의 석탄과 광물 수출입이 금지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8월,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를 무시하고 북한의 체제를 유지하려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사진: 유튜브)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