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동아시아 지역의 주요 식수원인 티베트 빙하의 해빙 속도가 중국의 무리한 개발 사업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빨라지고 있어 환경재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간) 홍콩 <명보> 등은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티베트 지역에 해당하는 중국 서부 고원지대 빙하가 매년 700억m³ 정도가 녹고 있어 예년보다 2배 해빙 속도가 2배 이상 빨라졌다며, 이러한 속도가 계속될 경우 오는 2050년경 빙하가 모두 사라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그린피스는 인공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 위치한 톈산(天山) 1호 빙하의 경우 해당 면적이 지난 2001년보다 11.7%나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티베트의 빙하는 중국의 황하, 양쯔강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젖줄인 메콩강, 미얀마와 인도서부, 방글라데시의 주요 수원인 브라마푸트라강의 발원지로 동아시아 20억 인구의 생존과 직결된 주요 식수원이다.
티베트 빙하는 그동안 일정하게 기온이 유지되면서 여름에 적정량이 녹고 겨울에 4만5000개 이상의 빙하를 새로 형성하는 순환 사이클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날로 더해가는 지구 온난화 현상과 중국의 대대적인 티베트 개발로 인구 및 인프라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점차 늘고 있다.
중국은 티베트에 대한 유화정책 중 하나로 한족들의 티베트 정착 독려는 물론 대대적인 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린피스는 관련 자료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티베트의 해빙이 지금의 속도를 이어갈 경우 2050년경 티베트를 수원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주요 강들이 다 메말라 심각한 환경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후 재앙 징후는 이미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브라마푸트라강 상류의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아내리면서 근처 인도 동부지역에 홍수가 발생, 6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지난해 8월에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야르칸드강 유역에서도 홍수가 발생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