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정부가 ‘사이버 안보 위험’을 이유로, 동맹국과 우호국들에게 화웨이 통신제품 사용을 피하도록 권고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지난 22일 익명의 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화웨이는 전 중국 인민해방군 엔지니어 출신인 런정페이(任正非) CEO가 운영하고 있으며, 창립 당시부터 군 자본의 기업과 거래했고 지금도 군과 각종 장기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SJ에 따르면 미 정부는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미국의 중요한 주둔 기지가 있는 국가에서의 중국 통신 기기 사용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용을 중단한 국가에 통신개발을 위한 원조 증자를 검토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국방부의 고위 인사들은 화웨이와 ZTE 등 중국 통신기기가 미국 국가 안보를 위험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세계적으로 차세대 통신 5G 건설이 시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의 전기와 수도, 금융 네트워크, 물류, 의료 설비와 자동 장치를 포함한 ‘사물 인터넷(IoT)’의 기반 망이 되는 5G에 중국군과 공산당이 배경인 중국 기업이 입찰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최근 호주 정부의 조사보고에 따르면, 중국 첩보부가 이끄는 사이버 스파이 활동은 중국 기업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고, 해외 이용자의 등록정보, 패스워드 등을 첩보부에 제공하도록 지시하고 있다고 한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