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인터넷 통제 강화로 ‘자가 검열’ 요구가 높아지면서, 각 기업들의 자체 검열을 돕는 ‘검열 전문 업체’가 속속 생겨나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같은 상황은 중국 내 각 기업들이 당국의 인터넷 통제 정책으로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 자체 검열의 필요성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NYT는 중국의 인터넷 환경은 시진핑 정부 출범 이후 통제 및 규제 강화로 그에 따른 처벌도 갈수록 무거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베이징 소재 검열 업체 비욘드소프트의 양샤오 본부장을 인용해 “작은 (민감 부분)이라도 놓치면 (기업들이) 치명적인 정치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업체의 콘텐트 검열 직원수는 2년 전 200명이었지만 현재는 4000명으로 약 20배 늘어나며 급성장했다. 약 14억명의 인구를 거느린 중국의 일평균 인터넷 사용자 수는 약 8억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NYT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온라인 미디어 회사들의 경우 대다수가 자체 콘텐츠 검열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담당 직원 수가 수천명에 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검열 업체의 직원들은 대부분 20대 대졸자이며 정치에 무관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민감한 콘텐츠를 가려내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신입직원들은 검열에 대상이 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2주 동안 공부한 뒤 시험을 치러야 한다.
NYT는 “직원들은 업무 시작에 앞서 고객사들이 정부 검열기관으로부터 받은 검열 지침을 먼저 외우고 이에 관한 설문을 작성해야 한다”며, 이 결과에 따라 각자 급여 기준이 결정된다고 부연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