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광둥성 선전의 한 정보통신(IT) 업체가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무슬림 주민 250만 명의 위치 정보와 개인 정보를 수집해 당국에 제공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18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은 네덜란드의 인터넷 보안 비영리단체 GDI 재단의 빅터 게버스 연구원을 인용해, 선전에 위치한 얼굴인식 기술 관련 IT 업체 ‘센스넷츠(SenseNets)’가 위구르족 250만 명의 위치 정보와 개인 정보를 중국 당국과 공유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센스넷츠가 신장위구르자치구 주민 250만명 이상의 동선을 추적해온 데이터베이스가 인터넷상에 유출되면서 알려졌다. 이번 사고로 그동안 유엔에서 제기해온 신장 내 위구르인들에 대해 중국 당국이 광범위한 감시를 벌이고 있음이 사실상 확인됐다.
게버스 연구원은 이번 DB 유출로 “위구르 자치구 주민 250여만명의 이름, ID 주소, 생년월일, 위치 정보 등이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가량 인터넷상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센스넷츠는 ‘모스크’, ‘호텔’, ‘인터넷 카페’ 등 무슬림들이 자주 모이는 곳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이들을 감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GDI에 따르면 센스넷츠는 신장 외에도 중국 전역에 1039개의 감시기기를 설치해 사람들을 감시해왔다.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 등 국제 인권단체와 세계 각국은 중국 당국이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위구르족을 비롯한 소수민족 이슬람교도를 대상으로 재교육 수용소를 운영하는 등 이들의 인권을 탄압하는 데 대해 비판과 즉각 중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정보 유출 논란과 관련해 게버스 연구원은 즉각 센스넷츠 측에 GDI 재단 명의로 사태의 심각성을 알렸지만, 센스넷츠 측은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해당 DB를 보안 조치했다.
지난해 8월 유엔인권위원회가 제출한 집단 수용소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이 곳에는 1000개가 넘는 강제 수용소가 있으며 100만 여명의 위구르인들이 법적 근거 없이 구금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