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당국이 이슬람 소수민족인 위구르인들에 대한 탄압을 계속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이와 관련된 당국의 공식 문건이 유출돼 내용 일부가 공개됐다.
중국 공산당 정치법률위원회(정법위)가 운영하는 온라인 매체 ‘차이나피스’에 따르면 신장 당국은 2014년 8월경부터 위구르인 감시를 위한 ‘10가구 반테러 단원’을 운영하고 있다. 단원들은 폭동 등 만약 사태를 대비해 각각 곤봉과 호각, 휴대 경보기 등을 소지해야 한다. 이는 폭동 발생시 당국에 해당 사실을 즉각 알리고 폭도들을 우선적으로 진압하기 위해서다.
당국은 이 정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잔압시 폭도들이 사망하더라도 단원들에게 그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밝혔다.
신장 지역은 위구르, 카자흐 등 이슬람 소수민족의 거주 중심지로 2009년 7월 우루무치에서 대규모 폭동이 발생한 이후 당국은 이 지역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
당시 폭동은 위구르족과 한족간 싸움으로 시작됐으며, 이틀 뒤인 7일 한족이 위구르족을 상대로 보복 공격을 벌여 중국에서 수십년래 최악의 유혈 인종분규로 발전했다.
당국 발표에 따르면 유혈 사태로 197명이 사망했으며 1700여 명이 부상했다. 사상자 다수는 한족이었다. 이후 8월까지 우루무치와 주변 지역에서 위구르족을 대상으로 한 대대적 검거가 진행돼 약 2000명에 달하는 위구르인이 체포됐다.
당시 사태의 배경은 공산중국 건국 이후 60년 동안 한족 이주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자치구 내에서조차 위구르족이 최다수 민족의 위치를 위협받게 된 점과 30년간 개혁개방으로 자원의 보고인 이곳에서 경제가 발전하면서 한족과 위구르족 간의 경제적 불평 등 현상이 심화된 것 등이다.
위구르인에 대한 당국의 탄압은 현재도 계속 강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을 테러 위협으로 간주해 △무슬림들의 종교 서적 사용 금지 △위구르어 사용 금지 △강제수용을 통한 고문과 세뇌 등을 진행하고 있다.
중화권 언론 대기원에 따르면 망명 위구르인들을 대표하는 국제단체인 세계위구르회의 딜삿 락싯 대변인은 지난달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0가구 프로그램은 위구르인들이 서로 고발하는 메커니즘”이라며 “만약 한 가정에 ‘극단주의자’가 존재한다면 나머지 9가구도 연루돼 수용시설에 구금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따라서 자신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 10가구는 서로를 감시하고 보고한다”며, “이로 인해 주민들 간에는 불신과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