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중국 광둥성 타이산(臺山) 원자력발전소에서 핵 연료봉 손상 사고가 발생하면서 중국 원전이 한국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타이산 원전을 중국광핵집단공사(CGN)와 공동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 원전기업 프라마톰 측의 문제 제기를 통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프라마톰은 지난 3일과 8일 미 에너지부에 보낸 두 차례의 서신에서 중국 당국이 원전 폐쇄를 피하기 위해 원전 외부의 방사성 물질 검출 한도를 높였다고 했다.
당국이 타이산 원전의 방사성 물질 검출 한도를 초기의 두배로 높였는데도 지난달 30일 기준 누출량이 검출 한도의 90%에 도달했다.
이에 프라마톰은 미 에너지부에, 핵분열 가스가 누출되고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한 기술지원을 요청한 것이다.
미 정부는 이 요청에 따라 약 일주일 동안 사안을 점검한 후 "이번 사고가 안전상 큰 문제가 될만한 일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이번 누출은 원전 운영과정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핀홀(pin hole, 조그만 구멍)로 인해 연료봉내 가스가 원자로로 샌 것으로, 방사성 물질의 외부 유출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타이산 원전 사고는 해프닝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 당국 특유의 폐쇄성 때문에 사고 발생시 사실을 은폐하려는 중국 당국의 태도로 향후 안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중국 원전기술 수준이 낮다고 폄훼하긴 어렵지만 공산주의 체제이다보니 사고가 났을 때 공개하고 투명하게 처리하는 문제는 걱정"이라고 했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도 "중국 CGN이 미국 정부에게 블랙리스트로 지정돼 원전을 운영하는 프랑스 프라마톰이 중국원전 안전사고를 미국에 알려야 할 의무가 없었다면 이 사고가 세상에 알려졌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원전사고와 관련해 불투명하다는게 더 큰 문제로, (사고에 대비해) 방사성 물질 관측 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원전의 안전 문제는 한국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 원전 62기(가동 50기, 건설 12기) 중 1기를 제외하고는 냉각수를 공급받기 쉬운 동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고 15기는 한국 서해안과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과 중국이 대체로 동쪽으로 바람이 부는 편서풍 지대란 점도 위협요인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킨스)이 지난 2017년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중국 원전 가상사고시 국내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양쯔강(장강) 하류 장쑤성에 위치한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한국까지 방사성 물질이 도달하는 데는 기류에 따라 3~5일이 걸린다.
오염물질 전달 정도는 기류에 따라 전혀 유입이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나, 최대 '사고지점 100분의 1' 수준까지 유입될 수 있다고 평가됐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