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감시카메라 업체 ‘하이크비전’이 공안에 ‘시위 추적용 경보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 영상감시연구소(IPVM)와 하이크비전 웹사이트에 공개된 기술설명 문서 공동 분석을 토대로 “중국 공안은 하이크비전이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각종 시위 활동에 대한 '경보'(alarms)를 설정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경보 유형 중 △국가기관 공격 군집 △부대 질서 훼손 군집 △공공장소 질서 교란 군집 등 최소 9개 항목이 집회·시위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유형 중에는 △종교 △파룬궁(심신수련법)도 포함돼 있었으나 IPVM이 하이크비전에 사실 확인을 거친 직후 해당 내용에서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보 작동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없었지만 '전화 경보' 등 10가지 이상의 경보 작동 방식이 문서에 기재돼 있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하이크비전은 웹사이트 문서에서 정치 성향, 종교, 외모(구체적 인상착의 포함) 등 구체적인 개인 정보를 구분하는 데이터 역량도 강조했다.
IPVM 분석가인 찰스 롤렛은 "집회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우려기 제기된다"고 말했다.
하이크비전은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에도 감시 카메라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인권 탄압 조력 업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업체는 지난 2018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이슬람사원인 모스크 967곳의 입구 등에 안면인식 카메라를 설치하는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크비전은 국가안보 위협 등을 이유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시절 ‘거래제한 기업’으로 지정했으며, 작년 11월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하이크비전이 생산한 통신 및 화상 감시장비에 대한 사용 허가를 금지하는 규정을 도입했다.
가디언은 이번 발견이, 최근 중국에서 봉쇄 방역 반대 시위가 발생한지 약 한 달 만에 나왔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중국 정부는 반정부 시위 확산을 막기 위해 서둘러 방역 완화에 나섰지만 이후 많은 시민들이 공안으로부터 연락을 받아 시위자 색출 조사 여부가 의심되고 있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