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9.18(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아하! 그렇구나] 파란 사과보다 빨간 사과가 더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이유

편집부  |  2017-06-09
인쇄하기-새창



[SOH] 바구니에 녹색 사과와 빨간 사과가 가득 담겨 있다. 당신이 그 중 하나를 먹는다면 어떤 색깔을 고르겠는가?


간혹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빨간색 사과를 더 선호할 것이다.


라파엘라 루미아티 이탈리아 고등연구국제대(SISSA) 교수팀이 진행한 ‘음식의 색과 영양분’에 대한 연구 조사에 따르면 음식의 영양분보다 색깔이 음식 선호를 더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조사를 위해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초록색으로 만들고, 칼로리가 적은 음식을 빨간색으로 만든 뒤, 참가자들에게 그 중 하나를 고르도록 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빨간색 음식을 선택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사람들이 보통 빨간 음식을 선호하는 것은 오랜 진화의 과정 속에서 빨간색을 가진 음식이 영양분이 더 풍부하다는 것을 뇌가 인식했기 때문이다.


루미아티 교수는 “가공되지 않은 자연 상태의 식량은 색이 붉을수록 영양이 풍부하고 고단백질인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시각 체계가 이 규칙을 파악하고 빨간색 음식을 선호하도록 진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수는 또 “하지만 음식이 조리된 상태라면 시각적 선택을 믿어선 안 된다”며, “본연의 색과 영양소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다시 말해 진화의 과정에서 획득한 시각적 선호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은 것이다.


루미아티 교수는 “이번 실험 결과를 응용해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청량음료, 고지방 음식 등을 초록색으로 제조하면 약물 없이도 자연스레 식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치료법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작년 11월 14일자에 발표됐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643 음식 대신 햇빛과 공기만 먹고 사는 부부... 왜?
편집부
17-06-26
642 아내와 쇼핑하면서 의자 들고 다닌 할아버지... 알고 보....
편집부
17-06-25
641 소셜 네트워크를 무료로 사용한 댓가
편집부
17-06-24
640 꽃 속에 담긴 광할한 우주의 모습... 신기해!
편집부
17-06-24
639 ‘가뭄’과 ‘폭우’로 신음하는 韓·中
편집부
17-06-23
638 스티븐 호킹, “30년 안에 지구 떠나라”... 왜? [3]
편집부
17-06-22
637 ‘요금이 싼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최악의 항공사 Top 10
편집부
17-06-21
636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 하지(夏至)
편집부
17-06-21
635 더 빨라지고 강력해진 폭염, 세계 곳곳서 기승
편집부
17-06-20
634 남극의 눈(雪)은 어디로?... 초원화 현상 갈수록 빨라져
편집부
17-06-19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2,034,018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