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영국 정부가 지난 6월 런던의 그렌펠타워 화재 이후 전국의 고층 공공 주거지를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화재안전 점검’에서 합격 판정을 받은 곳이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지드 자비드 영국 지역사회부 장관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의회에 출석해 “지난주부터 고충건물 75개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도 테스트’에서 단 1개동도 적격 판정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지난달 발생한 그렌펠타워 화재에서 ‘가연성 외장재’가 대형 참사로 이어진 원인으로 지목되자, 유사한 외장재가 사용된 영국 고층 공공주택 600여개 동에 대해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결과로 언제든 ‘제2의 그렌펠타워 참사’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자. 영국 정부는 “병원, 학교, 사유 주거 건물 등에 대해서도 ‘안전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화재 전문가들은 “영국 정부의 대대적인 화재 안전검사는 단지 검사에 지나지 않을 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을 내놓고 있다.
영국 화재 안전 전문가 아널드 탈링은 WP와의 인터뷰에서, “영국의 화재안전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면서, “가연성 외장재는 고층아파트뿐만 아니라 학교, 레저센터, 병원, 사무실, 호텔 등 많은 건물에 사용됐기 때문에 언제든 또 다른 대형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의회에서도 해당 문제를 정치문제로 쟁점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캐런 벅 영국 노동당 의원은 “정부가 실시한 안전검사에서 대상 건물들이 모두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것은 그렌펠타워 참사가 ‘국가 비상사태’로 전환되는 상황과 영국 공공주택의 과잉확장 문제를 여실히 보여 준다”고 말했다.
노동당의 예비내각의 존 맥도널 하원의원은 “주택을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보다는 금융 투기로 간주하는 정치인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며, “이는 정치적 결정에 의해 살해된 것과 같다”고 비난했다.
그는 또 “정부가 소방서 운영을 축소하고 소방관 수를 1만명 감원하고, 이들의 임금을 동결한 것도 그렌펠 타워 화재가 대형 참사로 이어진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