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미세먼지가 인간의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 대기 오염도가 공식 기준치 이하더라도 조기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프란체스카 도미니치 교수 팀은 미국 전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이 거주자의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를 위해 미국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보호제도인 메디케어 수혜자 전원을 대상으로 2000~2012년 거주지역 대기 오염도와 사망률 간 상관관계를 추적 조사했다.
연구진은 “총 연인원 4억6천여만 명의 의료기록과 사망통계, 위성 관측자료와 환경청(EPA)의 모니터 자료 등을 통해 미국 전국의 지역별 연평균 초미세먼지(PM2.5)와 오존 수치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PM2.5가 입방미터당 10마이크로그램(10㎍/㎥) 늘어날 때마다 사망률이 7.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오존 수치가 10ppb 높아질 때마다 사망률이 1.1% 높아졌다.
연구팀은 “조사 기간 중 측정된 평균 PM 2.5 수치는 미국의 '대기 질 기준'(NAAQS)치인 연평균 12~15 ㎍/㎥보다 낮은 6.21㎍/㎥~15.65㎍/㎥로 측정됐지만, 사망위험이 노출 정도에 비례해 높아졌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전체적으로 기준치 이하 초미세먼지로 인한 미국인 사망위험 증가율을 13.6%로 평가했다.
미세먼지는 지름 10마이크로미터(㎛) 이하, 초미세먼지는 2.5㎛ 이하의 부유물질이다. 초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나 화석연료를 태우는 공장 매연 등에서 주로 나오는 초미세먼지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돼 있다.
초미세먼지는 호흡을 통해 폐와 기관지에 침투할뿐 아니라 피를 타고 뇌 등 온몸에 확산돼 천식, 만성 폐 질환, 비염, 심장질환, 뇌졸중, 각종 암 등의 질병과 조기사망을 유발하며, 가슴통증·메스꺼움·소화불량을 유발하고 폐활량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기관지와 폐질환, 심장질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은 현재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은 일평균 50㎍/㎥, 연평균 25㎍/㎥로 미국보다 2배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일평균 25㎍/㎥, 연평균 10㎍/㎥)보다 훨씬 느슨하게 설정돼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하버드대가 발행하는 보건의료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