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베트남의 최대 곡창지대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약 100년 뒤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온라인매체 베트남넷 등에 따르면 베트남 환경부는 ‘메콩 삼각주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2005년 이후 침식 또는 침하로 매년 약 300㏊의 토지가 사라지고 있으며, 2010∼2015년에는 이들 대부분 지역의 지반이 5∼10㎝ 가라앉았다’고 밝혔다.
베트남 정부 기후변화자문위원회의 쩐 특 부위원장은 최근 열린 ‘메콩 삼각주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회의’에서 “메콩 강 지역에 계획된 144개 수력발전소 건설이 강 수위를 낮추고 모래와 진흙 양을 감소시켜 생태계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지역은 지난해에도 엘니뇨(적도 해수온 상승) 현상 영향으로 강 하류 쪽 바닷물 유입과 100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벼농사가 큰 타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메콩강 삼각주가 기후 및 환경 변화 등으로 약 100년 뒤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트남의 최대 곡창지대인 메콩 삼각주의 총 면적은 남한 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는 405만7천700㏊로 약 2천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계 3대 쌀 수출국인 베트남의 쌀 생산량 중 절반가량을 생산한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는 정부 예산과 세계은행 지원 등으로 메콩 삼각주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10억 달러(1조1천465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