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의 금융위기 발생 확률이 다른 주요 경제체에 비해 2배 높으며, 주된 요인은 중국의 채무 급증’이라는 지적이 최근 제기됐다.
11일(현지시간) 미 인터넷 매체 <비지니스 인사이더>는 ‘중국의 리스크는 얼마나 큰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대형 유럽 금융인 독일은행 그룹이 발표한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중국 비금융 부문인 가계·기업·정부의 채무수준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100% 이상에 달했다. 이후 2013년 당국이 대규모 금융완화를 단행하면서, 2016년에는 해당 채무 수준이 GDP 대비 255%까지 확대됐다. 보고서는 중국의 금융위기 발생 확률을 13%로 분석했다.
독일은행은 “중국 당국이 금융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경상수지를 보장해야 하지만, 2016년 중국의 경상수지는 GDP 대비 2% 적자였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이후,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결제은행(BIS) 등 세계 금융기관들은 잇따라 중국의 채무 급증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발 금융위기는 회복되고 있는 세계경제에의 최대의 ‘시한폭탄’임에 틀림없다. (사진: NEWSIS(신화))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