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18(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아하! 그렇구나] 저렴하고 쓰기 편한 ‘알루미늄 냄비’, 건강엔 낙제점... 왜?

한지연 기자  |  2018-02-11
인쇄하기-새창

 


[SOH] “라면은 노란 냄비에 끓여 먹어야 제 맛”이라는 속설이 있다. 어떤 음식이든 일단은 ‘맛’이 중요하지만 그 음식이 담기는 그릇도 맛을 배가 시키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한다.


기자의 경험으로도 라면은 양은(알루미늄)으로 된 낸 냄비나 양푼에 끓여진 것이 더 맛있다. 하지만 냄비의 재질에 대해선 왠지 모를 석연치 않은 찝찝함이 있었다.


양은 또는 알루미늄 냄비는 가볍고 열전도가 빠르지만 쉽게 녹슬지 않아 조리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조리시 이 냄비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Al)은 섭취 후 체외로 잘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쌓인다. 특히 산도나 염분이 높은 음식을 이 냄비에 조리할 경우, 식품 속에 녹아드는 알루미늄 양이 더 많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인 알루미늄은 극소량이라도 체내에 쌓일 경우, 뇌와 신장의 기능 저하를 비롯해 피로와 두통, 구토, 설사와 같은 가벼운 증상부터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저하, 기능항진, 칼륨대사 장애, 알츠하이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신진대사와 에너지순환을 방해해 장기적으로 면역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지난 28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시중에서 판매 중인 56개의 알루미늄 조리기구(냄비류)를 대상으로 음식물 조리 시 나오는 알루미늄 용출량을 조사한 결과, 총 47개의 냄비(83%)에서 최대 115.21mg/L의 알루미늄이 검출됐다.


알루미늄 용출량은 조리되는 음식의 산도와 염분에 따라 달랐으며, 라면이나 찌개 등 산도나 염분이 높을수록 식품으로 스며드는 알루미늄이 많았다. 반면 설렁탕과 같이 산도나 염분이 강하지 않은 식품에서는 알루미늄이 나오지 않았다.


알루미늄 냄비는 가볍고 열전도율이 높아 많이 애용되지만, 라면이나 찌개 등 산도나 염분이 강한 음식 등은 가급적 조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냄비를 구매할 경우에는 사용하기 전 물을 넣고 한 번 끓이면 냄비에 코팅된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좀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797 후쿠시마 해역서 ‘초대형 생굴’ 발견... 방사능 오염 추정..
한지연 기자
18-03-26
796 美 공화당, 각 대학 내 ‘공자학원 정치 공작’ 우려... ....
권성민 기자
18-03-25
795 전 세계 해양 점령한 미세플라스틱, 수돗물, 생수 등 생....
하지성 기자
18-03-22
794 中 일대일로로 빚더미에 앉은 나라 급증
하지성 기자
18-03-19
793 동남아 유명 휴양지... 환경오염 적색등
곽제연 기자
18-03-14
792 [아하! 그렇구나]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권성민 기자
18-03-13
791 '나오토 마츠무라' 씨는 왜 스스로 죽음의 땅 ‘후쿠시마....
한지연 기자
18-03-06
790 아프리카는 제2의 중국, 중남미는 제3의 중국으로...
김주혁 기자
18-03-05
789 태국, 中 관광객들의 관광지 훼손으로 골머리
권성민 기자
18-03-04
788 美 망명 중인 천광청, 바티칸의 대중 ‘주교 임명권 허용....
박정진 기자
18-02-2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330,884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