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19(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북극, 가장 추워야 할 2월에 평년보다 ‘30도’ UP... 재앙 수준

권성민 기자  |  2018-02-27
인쇄하기-새창



[SOH] 북극의 기온이 이달 들어 파격적으로 올라가면서 기상학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극은 2월부터 다음달 20일까지 해가 뜨지 않는 시기여서 가장 추운 시기이지만, 그란드해에서 강한 온기가 유입되면서 영상 2도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 같이 2월에 이례적인 기온 상승이 나타난 것은 지난 2011년과 2017년 이후 세 번째이다.


2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미 글로벌 예보시스템을 인용해 지난 25일 북극점 기온이 영상 2도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주립대 어바인 분교의 기상과학자 잭 레이브는 WP와의 인터뷰에서 “북극점에는 기상관측 시설이 없지만, 여러 분석 결과 빙점에 매우 가까웠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같은 온도는 평년보다 무려 30도 이상이나 높은 것이다.


레이브 박사는 덴마크 기상연구소가 1958년 이래 집계한 기상 자료를 토대로 따뜻한 공기 유입이 매우 광범위하게 퍼진 상황에 대해 설명하며, 매우 우려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층 더 심각한 것은 이 같은 온기 확산이 갈수록 빈번해지고 지속 기간도 길어지는 것이다.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의 지난해 7월 발표에 따르면 이 같은 고온 현상은 1980년 이래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북극의 온난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그레이엄에 따르면 북극의 기온 상승은 1980~2010년 기간에는 단 4번 발생했으나, 최근 5년 동안에는 4년간 기온 상승이 나타났다.


그레이엄 연구원은 “(기온 상승으로) 해빙이 감소하면서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지 못해 부동해가 노출되고 이는 바다의 열을 다시 대기로 전달하는 효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1월 북극 얼음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그랜란드에 위치한 덴마크 기상연구소 연구원 루스 모트람은 “(북극 기온 상승이) 이처럼 급상승 한 적은 없었다”고 우려했다. 이 연구소는 북극에서 600㎞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다른 기상학자들도 이번 겨울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정상적이 아니라며 큰 우려를 나타냈다.


비영리 온라인 매체 <인사이드 클라이미트 뉴스>에 따르면 미국 알래스카 북쪽 해안가에도 평균 기온보다 섭씨 22도 높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예년 같으면 베링해의 3분의1을 뒤덮고 있어야할 얼음이 기온 상승으로 사라진 것이다.


알래스카의 지질학자인 릭 토먼은 자신의 트위터에 “얼음이 사라지면서 산더미 같은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고 전했다. 베링해 얼음은 보통 11월초부터 생성돼 다음해 5월 정도까지 이어지는데, 올해는 무려 세 달이나 앞서 사라진 것이다. 파도를 막아준 얼음이 사라지면서 해안일대 가옥과 구조물에 이상이 생길 것이 우려되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북극의 차가운 기류가 러시아로 이동한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는 지난 26일부터 1주일 내내 영하 20도 이하의 강추위를 보이고 있다. (사진: NEWSIS)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797 후쿠시마 해역서 ‘초대형 생굴’ 발견... 방사능 오염 추정..
한지연 기자
18-03-26
796 美 공화당, 각 대학 내 ‘공자학원 정치 공작’ 우려... ....
권성민 기자
18-03-25
795 전 세계 해양 점령한 미세플라스틱, 수돗물, 생수 등 생....
하지성 기자
18-03-22
794 中 일대일로로 빚더미에 앉은 나라 급증
하지성 기자
18-03-19
793 동남아 유명 휴양지... 환경오염 적색등
곽제연 기자
18-03-14
792 [아하! 그렇구나]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권성민 기자
18-03-13
791 '나오토 마츠무라' 씨는 왜 스스로 죽음의 땅 ‘후쿠시마....
한지연 기자
18-03-06
790 아프리카는 제2의 중국, 중남미는 제3의 중국으로...
김주혁 기자
18-03-05
789 태국, 中 관광객들의 관광지 훼손으로 골머리
권성민 기자
18-03-04
788 美 망명 중인 천광청, 바티칸의 대중 ‘주교 임명권 허용....
박정진 기자
18-02-2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330,884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