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구촌의 각 해양과 하천이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직면한 가운데, 세계 유명 생수에서도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이 검출돼 지구촌 생수 안전에 비상등이 켜졌다.
미 언론에 따르면 최근 셰리 메이슨 교수가 이끄는 프리도니아 뉴욕주립대 지구환경과학과 연구팀은 미국의 비영리 언론 ‘오브미디어(Orb Media)’의 의뢰를 받아 미국, 중국, 인도, 태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케냐, 레바논, 멕시코 등 9개국에서 판매되는 11개 브랜드 생수 259개를 대상으로 미세플라스틱 함유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에비앙, 아쿠아피나, 산펠레그리노 등 조사 대상 생수 중 93%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검출된 플라스틱 성분은 생수나 탄산수를 담는 용기인 페트병을 제조 시 사용되는 페트(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였다.
연구팀은 “100㎛(1㎛는 100만분의 1m)크기 입자가 ℓ당 평균 10.4개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100㎛ 모발(50~100㎛)의 두께와 비슷한 크기로, 육안으로는 분간이 어려운 크기이다.
이번 조사 대상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제품은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생활 水까지 파고든 미세플라스틱
‘오브미디어’는 앞서 미네소타대학교 공중보건대학과도 공동으로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세계 14개국의 수돗물 샘플 159개에 대해 미세플라스틱 함유 여부를 조사한 바 있다. 당시 조사에서 전체 샘플의 83%가 미세플라스틱에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과 하천에 이어 식수로 사용하는 수돗물과 생수에서까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현실은 전 세계에 매우 큰 충격과 우려를 안겨줬다.
플라스틱은 생산될 때부터 이미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기도 하지만 폐기된 후 하천이나 바닷물에 흘러들어 미세하게 분해된 미세플라스틱은 훨씬 더 많은 유해화학물질을 끌어들이게 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해양 환경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양을 약 800만t으로 추산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그동안 우리가 마신 물을 비롯해 섭취한 조개, 새우, 게, 생선 등 물고기나 김, 미역 등 다양한 해양수산물 등 사실상 거의 모든 식재료와 음료수에도 미세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됐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