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애플이 중국 현지에 등록된 아이클라우드(iCloud) 계정을 중국 국영 서버로 이전한 이후 현지 애플 제품 사용자들의 사생활 침해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애플은 지난 2월 28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중국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중국 서버로 이전한다고 밝히고, 관련 사업권을 구이저우(貴州) 지방정부가 소유한 ‘구이저우 클라우드 빅데이터’로 넘겼다.
애플의 결정은 지난해 6월 발효된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에 따른 것으로, 중국 정부는 테러 예방과 국민의 사생활 보호를 앞세워 중국 내 모든 기업의 서버를 본토에 두도록 강제했다.
이에 대해 애플은 수개월간 따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전체 이익의 20%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을 결국 포기하지 못하고 지난 1월 개정법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애플의 결정에 대해 국내외에서는 “수익을 위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포기했다”는 비난이 일었다.
국제 인권단체 앰네스티는 “아이클라우드의 계정 이전은 중국의 억압적인 법적 환경으로 사용자 사생활과 보안에 대한 애플의 약속이 실현 불가능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애플은 ‘개인의 정보 보호는 기본적 인권’을 기업 이념으로 내세워왔다.
이에 대해 애플 측은 대변인을 통해 “중국의 개정법을 따르지 않는다면 우리는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우리는 사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 아이클라우드의 계정을 구이저우 데이터센터로 이전하진 않을 것이며, 아이클라우드 데이터 암호화키에 대한 통제권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애플의 아이클라우드 계정 이전에 대해 중국 내 애플 사용자들은 우려와 비난을 쏟아냈다. 애플의 아이클라우드 운영권이 구이저우 지방정부가 소유한 ‘구이저우 클라우드 빅데이터’로 넘어간 것은 아이클라우드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모든 개인정보가 정부가 손아귀에 들어간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2015년 ‘국가 보안법’을 제정해 외자 기업을 포함한 중국 내 모든 기업이 경찰의 개인정보 접근 요구를 보장하도록 규정했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