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이 그동안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그 동안 17개국을 향해 사이버 공격을 감행 무려 20억 달러의 수입을 올려왔다는 내용을 공개하면서 이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주 AP통신 등 일부 언론들이 발췌본을 부분적으로 보도했던 이 보고서는 수백 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북한이 불법적인 사이버 공격으로 번 돈을 핵무기개발에 쓰고 있다며 석유반입 금지 등 제재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2015년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최소 17개국의 금융기관과 가상화폐교환소를 35차례 사이버 공격을 벌였으며 최대의 피해국은 한국이고 그 다음은 인도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 사이버 공격은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의 지시로 활동하는 해킹부대가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자금 조달을 위해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이버 공격의 피해 횟수는 이웃한 한국이 10회로 가장 심했고, 인도가 3회, 방글라데시와 칠레가 2번씩이었다.
그 밖에 한 번씩 사이버 공격을 당한 나라들은 13개국이다. 코르타리카, 감비아, 과테말라, 쿠웨이트, 라이베리아, 말레이시아, 몰타, 나이지리아, 폴란드, 슬로베니아, 남아공, 튀니지, 베트남이 피해를 입었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디지털 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