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한자풀이는 한자의 진수를 소개하는 교양 콘텐츠로 한 글자씩 선택해 한자에 담긴 진정한 의미를 전한다.
병들 ‘병(病)’
설문해자(說文解字, 중국 한나라의 허신이 한자의 형성 과정과 뜻을 부수별로 정리한 책)에는 ‘병들 병(病)’을 ‘생명체가 내부 또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신체 일부에 이상이 생기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고대 한자 '병들 병(病)'은 어떻게 성립됐는지 알아보자.
병(病)은 사람(人)이 아파 침대(나뭇조각 장 爿) 위(머리 두 亠)에 누워 땀을 흘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것으로, 그릇을 뜻하는 ‘불 병, 남녁 병(丙)’과 병상에 드러누운 모습인 ‘병들 녁(疒-병들어 기대다 앓는다)’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疒’은 ‘病’의 초기 문자이다. 또한 각종 질병을 나타내는 상형부호이다.
병(丙)은 불을 담는 화로의 형상이기에 사람의 몸에서 열이 올라 생기는 모든 병을 말한다.
주로 질병(疾病)이나 상해(傷害) 그에 수반되는 감각 등에 관한 문자들을 이룬다.
즉 '증세 증(症)' '아플 통(痛)' '앓을 양(痒)' 등과 같이 질병의 정황을 나타내기도 하고, 피곤하다는 뜻의 ‘피(疲)’ 그리고 인간에게 가장 무서운 질병인 ‘암(癌)’에도 어김없이 ‘녁 疒’자가 쓰인다.
질병을 뜻하는 ‘병 질(疾)’과 ‘병들 병(病)’은 모두 병에 대한 통칭이지만, 타박상이나 골절 등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가벼운 병은 질(疾), 폐병과 같이 몸의 내부에서 생긴 중병을 병(病)이라 구분해 쓴다. 또 ‘疫(역)’은 돌림병을 뜻한다.
고대의 의학은 개인의 병 치료에만 관여하고 오늘날처럼 예방의학 사회의학 또는 역학적(疫學的)인 활동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병에 대한 통계적 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깨끗한 물, 충분한 영양분 섭취, 쾌적한 주거환경은 감염성 질환을 포함한 질병 예방 및 건강 유지의 필수 조건이다. 이 3대 요소가 충족되지 못한 지역은 현재까지도 환경자원 결핍과 더불어 말라리아, 결핵, 설사병, 성병 등 감염성 질환들이 질병 및 주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생활과 문화가 서구화되면서 감염성 질환으로부터 만성 퇴행성질환으로 전환돼 각종 암, 비만, 당뇨병, 고혈압, 각종 사고와 이들에 의한 합병증 등 선진국형 질환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 고령 인구 증가로 각종 노인병도 빠르게 늘고 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한비 등이 쓴 책 <한비자(韓非子)>의 고분(孤憤) 편에 신체와 국가의 병을 동일시한 구절을 소개한다.
‘죽은 사람과 같은 병을 가진 자는 살아남기 힘든 법이다(與死人同病者, 不可生也). 망한 국가와 같은 형국의 나라는 존재할 수 없다(與亡國同事者, 不可存也)’고 했다.
개인이 병들지 않으려면 건강해야 하듯, 국가도 망하지 않으려면 올바른 힘을 길러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