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16(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아하! 그렇구나] 빠르고 편리한 외식... 건강도 책임질 수 있을까?

도현준 기자  |  2019-12-01
인쇄하기-새창



▲ [사진=SNS]


[SOH] 시간 절약, 편리함 등의 이유로 외식 문화가 보편화 된 가운데, 음식점 등에서 환경호르몬이나 중금속이 용출되는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음식점 등에서 식품용이 아닌 기구를 조리에 사용하거나, 식품용 기구라 해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알루미늄 냄비(양은냄비)에 라면 또는 찌개 끓이기 △알루미늄 호일을 깔고 삼겹살 등 고기 굽기 △일회용 양파망으로 육수 우리기 △김치 등을 담글 때 재활용 고무대야(붉은색)를 사용하는 것 △플라스틱 바가지 등으로 뜨거운 육수 뜨기 △코팅이 벗겨진 후라이팬 사용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 [사진=SNS]


나일론 소재의 양파망, 플라스틱 바가지, 폐비닐을 재활용해 만든 고무대야 등은 환경호르몬이나 중금속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BHT) 등이 용출되므로 식품 용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 뚝배기나, 알루미늄 냄비, 프라이팬 등 식품용으로 인증받은 조리기구라 해도 잘못 사용할 경우 유해할 수 있다.


뚝배기의 경우 세제로 닦으면 균열된 틈 사이로 침투한 세제 화학성분이 음식을 끓이는 도중 용출되어 체내에 누적될 수 있다.


알루미늄 냄비는 식품 용기이기는 하나 라면이나 찌개 등 염분이나 산도가 높은 음식을 조리할 경우 알루미늄 성분이 녹아 나와 음식에 스며들기 때문에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용출돼 섭취된 알루미늄은 그 양이 극히 소량이고 하루 반 정도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대부분 배출되기에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섭취하거나 몸이 알루미늄에 취약한 경우 구토, 설사, 메스꺼움, 치매 등 신경계통 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신장 장애 환자, 노인, 저체중 영아 등은 알루미늄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팅이 벗겨진 후라이팬도 마찬가지로 조리 시 중금속 성분 등이 용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086 [SOH 산책] 선념(善念)은 복(福)을 부른다
편집부
19-12-27
1085 [아하! 그렇구나] 중국인이 바라본 한국 경찰과 중국 경....
도현준 기자
19-12-26
1084 [SOH 산책] 일지암(一枝庵) 추억
편집부
19-12-25
1083 [재미있는 한자풀이] 사람 ‘인(人)’
편집부
19-12-24
1082 [SOH 산책] 구용구족(九容具足)
편집부
19-12-20
1081 [아하! 그렇구나] 12지신(十二支神)
편집부
19-12-19
1080 [아하! 그렇구나] 용관규천(用管闚天)... 대롱으....
권성민 기자
19-12-17
1079 [재미있는 한자풀이] 밥 ‘식(食)’
편집부
19-12-17
1078 [아하! 그렇구나] 사부가 "도제"를 찾는다는 의미
편집부
19-12-12
1077 [재미있는 한자풀이] 효도 ‘효(孝)’
편집부
19-12-1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469,193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