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현대의학의 가장 큰 결점은 실증과학을 추구하는 까닭에 육안으로 볼 수 있거나 기계로 관측 가능한 ‘병소(病所)’에만 주의를 집중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가뜩이나 국한되어 있는 의학이 더욱 세분화되어 질병의 진정한 기전과는 더욱 더 멀어지게 된다.
사실 사람들은 아주 쉽고 간단한 사실을 잊는 경향이 있는데 모든 병은 질병의 종류나 가볍고 심한 정도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가지는 성질이 있다. 즉, 모든 병은 일정 정도 사람에게 어려움과 고통을 준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사람이 병(病)이라는 말과 병(病)이라는 말이 내포하는 정보에서 형성시킨 관념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질병에 직면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소극적으로 고통을 감내하면서 이것을 단순히 질병이 표현되어 나온 결과라고만 생각한다.
이런 관념은 사람들이 질병에 대한 진정한 인식을 갖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식의 겉으로 드러난 인과관계는 사람을 실증과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소–세균, 병독(病毒), 증식(增殖), 괴사(壞死) 등을 찾는 방법에만 주의를 기울이게 하고 질병이 사람에게 고통을 준다는 통속적이지만 그 안에서 진리를 발현하는 심오한 현상을 잊게끔 오도한다.
병인(病因)을 어떤 병의 근본원인으로 보는 이론은 영원히 서로 다른 사람이 동일한 질병에 대해서 아주 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해석할 수 없다. 즉, 이른바 “개체 차이”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가령 어떤 병균이 일단의 사람들을 감염시켰을 때 그중 어떤 사람들은 발병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발병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한 유전적 결함을 지닌 사람의 후손 중에도 누구는 병을 얻고 누구는 병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다른 각도에서 이 문제를 보자.
질병이란 것이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것이라면 그것은 질병의 목적일 수 있다.
수련계에서는 질병의 본질과 관련해 질병이란 일종의 영성을 지닌 하나의 영체(靈體)로 본다.
이러한 영체의 영성(靈性·생명성)은 곧 질병의 각종 표현형식 중에 함축된 공통적 성질로서 병의 표현에 아무리 변화가 심할지라도 최종적인 목적은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것이다.
병의 영성은 아주 쉽게 질병 발생의 개체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데, 즉 누구에게는 병이 생기고 누구는 병이 생기지 않게끔 한다.
그것은 자기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정도에 근거하여 고통을 줄 대상을 선택하고 누군가의 몸에 고통을 줄 것을 결정하면 곧 그의 체내에 모종의 방식으로 고통이 나타나게 한다.
병의 영성은 아주 깊은 층차에서 질병의 본질적인 특성을 대표하기에 우리 이 공간 범위 밖에 있는 심층 공간에 존재한다. 그러나 현대의 실증의학은 이 공간에 인식이 국한되어 있기에 그것을 인식할 수 없다.
중국의 고대의학은 보통 병의 원인을 ‘기맥불통(氣脈不通)’에서 찾으며, 특이공능이 있는 사람들은 질병이 다른 공간에서 나타나는 본질을 ‘검은 기운(黑氣)’에서 찾는다.
불가에서는 이검은 기운을 사람이 좋지 않은 일을 해서 얻게 되는 ‘업력’으로 본다.
사람이 나쁜 일을 함에는 큰 일도 있고 작은 일도 있으며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므로 업력을 갚는데에는 크기의 차이가 있으며 형상(形象)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업력이 그가 어떤 질병을 얼마나 많이 앓아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질병 발생 시에 개체 차이가 나타나는 근본 원인을 설명해준다.
고통을 겪는 것은 이전에 빚졌던 업력을 갚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건강하고자 한다면 우선 덕(德)을 쌓고 선(善)을 행하는 것을 중시해야 한다. / 正見網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