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일회용 종이컵으로 뜨거운 음료를 마실 경우 체내에 많은 양의 나노 플라스틱이 침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노워크’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지난 달 20일(현지시간) 과학저널 ‘환경 과학과 기술’에 발표한 논문에서 “일회용 컵에 뜨거운 음료를 담을 경우 ℓ당 조 단위의 나노 플라스틱 조각이 녹아나온다”고 밝혔다.
나노 플라스틱은 지름이 100㎚(나노미터, 1㎚는 100만분의 1㎜) 미만인 초미세 플라스틱을 말한다.
지름 5㎜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은 육안으로도 확인되지만 나노 플라스틱은 일반 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을 정도로 작다.
종이컵에서 용출된 나노 플라스틱의 양은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회용 종이컵에 각각 100℃의 뜨거운 물과 22℃의 물을 붓고 일정 시간 후 확인한 결과 100℃ 물을 담았던 일회용 컵에서는 ℓ당 5조1000억개, 22℃의 물에서는 ℓ당 2조 8000억개의 나노 플라스틱이 용출됐다고 밝혔다.
나노 플라스틱의 출처는 종이컵 내벽에 코팅된 필름이다.
티백 등에 쓰이는 식품용 나일론에서는 훨씬 더 많은 양의 나노 플라스틱이 용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실험에 따르면, 90℃에 노출한 나일론에서는 ℓ당 35조개의 나노 플라스틱이 용출됐고 22℃에 노출했을 때에는 24조개가 확인됐다.
이번에 용출된 나노 플라스틱 양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정한 안전 기준보다는 적었다.
FDA는 티백에서 쓰이는 것 같은 식품용 나일론의 경우 고온에서 용출되는 플라스틱 양이 전체 질량의 1% 미만으로 규정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용출된 나노 플라스틱 양은 기준의 1/10 (10분의 1) 정도 수준이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용출된 나노 플라스틱의 평균 크기는 30~80㎚로, 인체 세포 내부로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라며 “개인적 건강 상황이 다른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실험 결과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이 건강에 위험할 수 있는 나노입자의 주요 출처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경고했다. / 머니투데이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