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독자 제공
군대에 간 아들이 전투를 하다 사망하더라도 가슴이 찢어질 터인데, 느닷없이 사격장의 유탄에 맞아 목숨을 잃었으니 얼마나 억울하고 원통한 심정일까?
가해자에 대한 분노도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그의 멱살을 잡고 울분과 원망을 토해 낼 것이며, 강력한 엄벌로 처벌되길 바랄 것이다.
이런 사고로 아들을 잃은 부모라면 누구라도 그러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그 병사의 아버지는 그렇게 하지 않았는데, 그가 한 말은 세간에 매우 큰 놀라움과 감동을 주었다.
그는 아들을 잃은 슬픔 속에서도 “그 유탄을 쏜 병사를 찾지 말라. 그 병사도 나처럼 자식을 군대에 보낸 어느 부모의 자식이 아니겠느냐? 그 병사를 알게 되면 나는 원망하게 될 것이요, 병사와 그 부모 또한 자책감에 평생을 시달려야 하지 않겠는가?”
(관련 기사)라고 했다.
아들을 잃은 처절한 고통 속에서도 바다와 같은 너그러움과 원수(가해자)의 입장을 배려하는 이 마음은 얼마나 대단한가?
각박한 사회 속에서 이런 마음을 낸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기에, 이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묵직한 감동과 존경, 숙연함을 느끼게 했다.
만약 내가 이 일을 당했다면 어떻게 했을까? 사격장을 허술하게 관리한 담당자에게 책임을 물었을 것이고 국가에 대해서도 마땅히 배상을 요구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병사의 아버지는 그렇게 하지 않았고, 이해와 배려로 가해자와 그 부모의 입장까지 헤아렸으니, 참으로 어진 심성의 소유자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어서 더 큰 감동을 준다.
이 기사를 접한 당시 구본무 LG 회장은 사망한 병사의 부친의 인격에 깊은 감명을 받아 해당 유족에게 사재 1억원을 기부했다
(관련 기사)
구 회장에게 1억원은 큰 돈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마음에 없으면 어찌 단 돈 1원 인들 내놓을 수 있을까?
국내외 적으로 어둡고 불안한 정세 속에 도덕과 인성이 쇠락하는 요즘, 참으로 따뜻하고 훈훈함을 느끼게 하는 일화라 할 수 있다.
선의와 배려로 많은 이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선사한 두 분에게 다시 한 번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